🗺️ GIS & RS/💽 공간 데이터 저장소

[공간자료] 집계구를 알아보자

김 홍시 2022. 8. 1.
반응형

1. 집계구란?

"집계구(Output Area; OA)"란 기초단위구를 결합시켜 만든 구역으로 기초단위구에 통계적 특성인 동질성, 동량성을 부가하여 확정한 근린지역 통계서비스 구역을 말한다. [통계청훈령 제345호, 2014. 3. 26., 일부개정]

기초단위구를 기반으로 인구규모(최적 500명), 사회경제적 동질성(주택유형, 지가), 집계구 형상을 고려하여 구축한 최소 통계 집계구역 - 개인정보보호 및 통계적 유의성 확보를 위하여 최소인구 300명, 최적인구 500명, 최대인구 1,000명을 설정 - 건물을 단독, 아파트, 비거주용으로 분류, 기초단위구별 주택유형 분석하여 이를 기반으로 집계구가 유사한 주택유형을 가지도록 함 - 필지별 지가를 기반으로 기초단위구의 평균지가 산정, 이를 기반으로 집계구가 유사한 평균지가를 가지도록 함 - 집계구 형상은 가시적 측면에서 단순한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정방형이 가장 이상적임 ※ 통계청의 전수조사 자료를 읍면동보다 더 작은 소지역단위(집계구)로 집계하여 서비스

 

2. 집계구의 특징

도시지역처럼 좁은 지역에 인구가 많은 경우에는 집계구 한 polygon 당 크기가 작다.

반면 비도시지역은 비교적 집계구의 크기가 크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집계구의 크기가 큰 곳과 작은 곳은 어디일까?

먼저 작은 곳들은 모두 도서지역이었다.

 

 

가장 큰 집계구는 화순군 사평면이었다.

산지가 많은 농촌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서울에서 집계구가 가장 작은 지역과 큰 지역은 어디일까?

서초3동의 서초한신플러스타운 아파트에 위치한 미니스톱 건물이다.

평범한 상가 건물 같은데 왜 하나의 개별적인 집계구인지는 모르겠다.

 

그 다음으로 작은 집계구는 은평신사두산위브와 한신휴플러스, 신사 현대2차 안에 있는 은광교회였다.

여기 또한 왜 교회 하나가 집계구로 처리되었는지 모르겠다. 

 

반면, 가장 큰 집계구는 쉬이 예측 가능하게도 김포공항이었다. 

 
 

 

그 다음으로 큰 집계구는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와 그 주위 산지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