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EPSG:3857이란? 웹 지도의 표준 좌표계를 이해하자
EPSG:3857은 웹 지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좌표계로, Google Maps, OpenStreetMap, Bing Maps 등 대부분의 온라인 지도가 이 좌표계를 기반으로 작동합니다. Web Mercator(웹 머커토르) 라는 이름으로도 잘 알려져 있으며, 공간 데이터를 웹에서 시각화할 때 사실상 표준처럼 사용되는 투영 방식입니다.
EPSG:3857의 기본 개념
- 정식 명칭: WGS 84 / Pseudo-Mercator
- EPSG 코드: 3857
- 투영 방식: 구면 머커토르 투영(Spherical Mercator projection)
- 단위: 미터(meter)
- 기준 좌표계: WGS 84 (EPSG:4326)
이 좌표계는 **위도/경도 기반의 WGS 84 좌표계(EPSG:4326)**를 바탕으로, 구형 지구를 기준으로 한 평면 투영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지도 타일(tile)**을 정사각형 격자로 나누어 효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만들어졌습니다.
EPSG:3857의 주요 특징
- 🌍 웹 지도에 최적화
전 세계를 연속된 정사각형 타일로 분할할 수 있어, 줌 레벨 기반의 타일 지도 시스템에 적합합니다. - ⚠️ 면적, 거리 왜곡 존재
극지방으로 갈수록 면적과 거리 왜곡이 심해집니다. 따라서 정밀한 측정이나 분석 목적에는 부적합할 수 있습니다. - 🔁 좌표계 변환 필수
대부분의 공간 분석이나 공간 데이터는 EPSG:4326(WGS84) 기준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WebMap에서 사용하려면 EPSG:3857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EPSG:3857이 사용되는 분야
- 웹 기반 지도 서비스(Google Maps, Leaflet, Mapbox, OpenLayers 등)
- OpenStreetMap 및 타일 기반 지도 렌더링 시스템
- 위치기반 서비스(LBS) 및 공간정보 API
- 스마트시티 및 IoT 위치 시각화 플랫폼
EPSG:4326과 EPSG:3857의 차이점
항목 EPSG:4326 EPSG:3857
명칭 | WGS 84 | Web Mercator |
좌표 단위 | 도(degree) | 미터(meter) |
투영 방식 | 지리좌표계 | 평면투영(머커토르) |
사용 목적 | 공간 분석, 정밀 측정 | 웹 시각화, 지도 타일 렌더링 |
사용 예시 | GPS 좌표, 공간분석툴 | 구글맵, 웹 지도 |
마무리: EPSG:3857, 웹 공간 서비스의 기본
EPSG:3857은 웹 지도의 기본 좌표계로, 공간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모든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만, 정밀한 거리나 면적 계산에는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분석용 좌표계와 시각화용 좌표계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키워드: EPSG:3857이란, Web Mercator 좌표계, 지도 좌표계 변환, WGS84와 EPSG3857 차이, 웹GIS 좌표계, EPSG:4326 변환 방법
반응형
'🏞️ GIS & RS > 🗺️ 지도서비스・웹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지도] Geojson.io란? 웹에서 손쉽게 공간 데이터를 만들고 편집하는 무료 도구 (0) | 2025.03.28 |
---|---|
[웹지도] GeoParquet이란? (0) | 2025.03.28 |
[웹지도] Nextzen: 오픈소스 벡터 타일 기반의 차세대 지도 플랫폼 (0) | 2025.03.28 |
[웹지도] OpenStreetMap 타일(Tile) 서비스 (0) | 2025.03.28 |
[웹지도] PMTiles, mbtiles (0) | 2025.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