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

[GIS] 도로 네트워크 구성 요소 :: 노드(점), 링크(선)

김 홍시 2025. 2. 5.
반응형

도로 네트워크(Road Network)를 이루는 주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노드(Node, 교차점)

  • 도로가 만나는 지점(교차로, 분기점 등)
  • 출발점과 도착점(기점 및 종점)
  • 터미널(버스 터미널, 기차역, 물류센터 등)

2. 링크(Link, 도로 구간)

  • 도로 구간(도로를 연결하는 선형 요소)
  • 도로의 속성(차선 수, 제한 속도, 일방/양방향 등)
  • 도로 유형(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보조도로 등)

3. 네트워크 속성(Topology)

  • 노드와 링크 간의 연결 관계
  • 도로의 계층 구조(고속도로 → 주요도로 → 보조도로)
  • 교차로 신호 체계(신호등, 회전교차로, 정지선 등)

4. 도로 속성(Attributes)

  • 제한 속도
  • 차선 수
  • 방향성(일방통행, 양방향)
  • 도로 종류(고속도로, 지방도로, 골목길 등)
  • 도로 폭

5. 교통 흐름 정보(Traffic Flow)

  • 실시간 교통량(혼잡도, 속도, 교통 체증)
  • 교통 사고 및 공사 정보
  • 도로 폐쇄 및 우회 경로

6. 보행자 및 기타 교통 요소

  • 횡단보도, 인도(보행자 도로)
  • 자전거 도로
  • 대중교통 인프라(버스 정류장, 지하철역)

이러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도로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GIS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분석(경로 탐색, 이동 시간 최적화, 교통량 예측 등)을 수행합니다.


1. 노드(Node)

노드는 도로 네트워크에서 교차점, 분기점, 또는 끝점을 나타내는 점(Point)으로, 네트워크의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1) 노드의 종류

  1. 단순 노드 (Simple Node)

    • 두 개 이상의 도로 링크가 연결되는 기본적인 점.
    • 교차로 없이 직선 구간에 존재하는 개념적 점(예: 특정 지점에서 속성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
  2. 교차로 노드 (Intersection Node)

    • 두 개 이상의 도로가 실제로 교차하는 지점.
    • 신호등이 있는 교차로, 로터리, 입체교차로 등이 포함됨.
  3. 터미널 노드 (Terminal Node)

    • 네트워크의 시작점 또는 끝점.
    • 예: 도로망이 끝나는 지점, 공항이나 항구의 출입구.
  4. 분기 노드 (Branch Node)

    • 하나의 도로가 여러 개의 도로로 나뉘는 지점.
    • 고속도로 분기점(램프, 인터체인지 포함).
  5. 가상 노드 (Pseudo Node)

    • 도로 속성이 변경되는 지점에서 설정하는 노드.
    • 예: 제한 속도, 차선 수, 도로 종류가 변하는 곳.
  6. 연결 노드 (Connector Node)

    • 도로망과 다른 네트워크(철도, 수로 등)를 연결하는 역할.
    • 예: 도로와 철도 환승 지점, 대중교통 정류장.

(2) 노드의 속성

  • 좌표 정보 (x, y 또는 위도·경도)
  • 노드 ID (고유 식별자)
  • 접속 도로 정보 (연결된 링크 ID)
  • 신호체계 (신호등 여부, 신호 대기 시간)
  • 도로 유형 변화 여부 (차선 수 변경, 제한 속도 변경 등)
  • 가중치 (교통량, 혼잡도, 교차로 대기 시간 등)

(3) 노드의 역할

  • 경로 탐색의 출발점과 도착점 역할.
  • 도로 네트워크의 연결 구조를 정의.
  • 링크(도로 구간) 간 이동 가능 여부를 결정.
  • 신호 체계, 지체율, 이동 방향 등의 정보를 제공.

2. 링크(Link)

링크는 노드와 노드를 연결하는 도로 구간(Edge)으로, 실제 도로망의 연결 관계를 표현하는 선(Segment) 개체입니다.

(1) 링크의 종류

  1. 일반 링크 (Simple Link)

    • 기본적인 도로 연결 구간.
    •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도로를 표현.
  2. 고속도로 링크 (Highway Link)

    • IC(인터체인지), JC(분기점) 등을 포함하는 고속도로 전용 링크.
    • 제한 속도가 높으며 출입이 제한적.
  3. 일방통행 링크 (One-Way Link)

    • 특정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한 도로.
    • 도심 내 일방통행로 또는 고속도로 진출입로.
  4. 복합 링크 (Multi-Part Link)

    • 하나의 링크가 여러 개의 도로 구간으로 나뉘어 표현되는 경우.
    • 예: 하나의 도로 구간이 여러 속성을 가지는 경우.
  5. 페리 링크 (Ferry Link)

    • 육로가 아닌 수상 교통과 연결되는 도로 구간.
    • 예: 차량이 탑승할 수 있는 카페리 노선.
  6. 가상 링크 (Pseudo Link)

    • 도로망의 형식적 연결을 위해 생성되는 링크.
    • 예: 건물 내부 도로, 보행자 전용 도로.

(2) 링크의 속성

  • 시작 노드(Start Node) & 끝 노드(End Node)
  • 길이 (Length, 단위: m 또는 km)
  • 방향성 (일방통행 여부)
  • 제한 속도 (Speed Limit, km/h)
  • 차선 수 (Number of Lanes)
  • 도로 유형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도시도로 등)
  • 도로 폭 (Width)
  • 가중치 (Weight, 예: 시간, 비용, 에너지 소모량 등)
  • 교통량 (Traffic Volume)
  • 도로 상태 (포장 여부, 터널, 교량 포함 여부)

(3) 링크의 역할

  • 도로 네트워크의 연결성을 유지.
  • 차량 및 보행자 이동 경로를 결정.
  • 최단 경로 분석, 네트워크 가중치 분석 등의 기본 단위.
  • 네트워크 흐름(교통량, 속도, 밀도 등)을 분석하는 데 활용.

3. 노드와 링크의 관계

  • 네트워크 구성: 노드와 링크는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그래프 이론에서 노드는 꼭짓점(Vertex), 링크는 간선(Edge)으로 표현됨.
  • 도로망 분석의 기본 단위: OD 매트릭스 분석(Origin-Destination Matrix)에서 출발 노드와 도착 노드를 연결하는 링크의 집합으로 이동 경로를 구성.
  • 가중치 적용: 각 링크는 이동 시간, 교통 혼잡도 등 가중치를 가지며, 네트워크 분석에서 최적 경로 탐색의 중요한 요소로 사용됨.

4. 노드와 링크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 예시

  1. 최단 경로 분석 (Shortest Path Analysis)

    • 다익스트라 알고리즘(Dijkstra’s Algorithm), A* 알고리즘 등을 활용해 최적 경로 계산.
    • 노드 간 이동 비용(링크 가중치)을 최소화하는 경로 탐색.
  2. 교통 네트워크 분석 (Traffic Flow Analysis)

    • 특정 링크의 교통량 분석을 통해 도로 용량 초과 여부 예측.
    • 실시간 교통 데이터를 활용하여 혼잡도 분석.
  3. 배리어 분석 (Barrier Analysis)

    • 특정 노드 또는 링크에서 발생하는 장애 요소(공사, 사고, 폐쇄된 도로 등)에 대한 분석.
    • 대체 경로 탐색 시 활용.
  4. 시설 접근성 분석 (Accessibility Analysis)

    • 병원, 소방서, 경찰서 등의 긴급시설 접근성 평가.
    • 도보 및 차량 접근 가능성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범위 분석.

결론

노드와 링크는 도로 네트워크의 핵심 요소로, 교통 흐름을 분석하고 최적 경로를 탐색하는 데 필수적인 데이터 구조입니다. 노드는 교차로 및 분기점을 정의하며, 링크는 도로의 실제 연결성과 이동 특성을 나타냅니다.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GIS 및 교통 모델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