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ngsi's Study/💼 마케팅・트렌드・경영

[마케팅] 옥외광고 관련 전문용어 모음

김 홍시 2025. 2. 20.
반응형

번호 용어
1 OOH (Out-of-Home) 옥외광고로, 건물 외부나 공공장소에서 접할 수 있는 광고 매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버스정류장 광고, 지하철 광고, 빌보드 등이 포함된다.
2 DOOH (Digital Out-of-Home)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옥외광고로, LED 스크린, 전자 디스플레이 등을 활용하여 동적으로 광고를 노출하는 방식이다.
3 유효 노출 빈도 (Effective Frequency) 광고가 특정 소비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노출 횟수를 의미한다.
4 ROAS (Return on Ad Spend) 광고 비용 대비 매출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로, 광고 투자 대비 수익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5 CPC (Cost Per Click) 온라인 광고에서 클릭 한 번당 발생하는 비용을 의미하며, 광고 효율성을 측정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다.
6 CTR (Click Through Rate) 광고가 노출된 횟수 대비 클릭된 비율을 의미하며, 광고의 효과성과 매력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7 Awareness Index (인지 지수) 브랜드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주로 설문조사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측정된다.
8 Reach (도달) 광고가 일정 기간 동안 유니크한 사용자에게 도달한 횟수를 의미하며, 광고 효과를 평가하는 기본적인 지표이다.
9 Reach+ (도달빈도) 기본적인 도달 수치에 더해, 동일한 사용자에게 반복적으로 광고가 노출된 빈도를 함께 고려하는 개념이다.
10 Impression (노출 수) 광고가 사용자에게 노출된 총 횟수를 의미하며, 실제 클릭 여부와 관계없이 단순 노출된 횟수를 측정한다.
11 퍼포먼스 마케팅 (Performance Marketing) 광고 성과를 기반으로 캠페인을 최적화하는 마케팅 방식으로, ROAS, CPC 등의 지표를 활용해 광고 효과를 극대화한다.
12 브랜드 마케팅 (Brand Marketing) 소비자의 브랜드 인식과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 전략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브랜드 가치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13 미디어 믹스 (Media Mix)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를 조합하여 활용하는 전략으로, 온라인, 오프라인, TV, 소셜미디어 등이 포함된다.
14 타깃 오디언스 (Target Audience) 광고나 마케팅 활동의 주요 대상이 되는 특정 소비자 그룹을 의미하며, 연령, 성별, 관심사 등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15 타깃 동선 (Target Pathway) 특정 소비자 그룹이 주로 이동하는 경로나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최적의 광고 노출 전략을 수립하는 개념이다.
16 빅데이터 분석 (Big Data Analysis)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패턴과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과정으로, 마케팅 전략 수립 및 광고 효과 예측에 활용된다.
17 유동인구 분석 (Floating Population Analysis) 특정 지역에서 일정 기간 동안 이동하는 인구 흐름을 분석하여 상권 분석 및 광고 전략 수립에 활용한다.
18 생활이동 데이터 (Mobility Data) 스마트폰 GPS 데이터, 교통 카드 이용 내역 등을 활용하여 사람들이 이동하는 패턴을 분석하는 데이터이다.
19 매체 커버리지 (Media Coverage) 특정 광고 매체가 도달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하며, 광고 집행 전 미디어 플래닝 과정에서 고려되는 요소이다.
20 미디어 플래닝 (Media Planning) 광고 목표에 맞춰 최적의 매체 조합과 광고 집행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으로, 광고 예산과 목표 도달률을 고려한다.
21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광고 캠페인의 성과를 평가하는 핵심 지표로, ROAS, CPC, CT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22 CLTV (Customer Lifetime Value) 고객이 브랜드와의 관계에서 창출하는 총 가치를 의미하며, 장기적인 고객 충성도와 관련이 깊다.
23 브랜드 로열티 (Brand Loyalty) 소비자가 특정 브랜드에 대해 지속적인 신뢰와 충성도를 보이는 정도를 의미하며, 반복 구매율과 연관된다.
24 브랜드 친숙도 (Brand Familiarity)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해 얼마나 익숙한지를 측정하는 지표로, 광고와 제품 노출 빈도에 영향을 받는다.
25 브랜드 리프트 (Brand Lift) 광고 캠페인이 브랜드 인지도나 구매 의도에 미친 영향을 측정하는 지표로, 광고 효과를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26 POI 데이터 (Point of Interest Data) 상업시설, 공공시설 등 특정 지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상권 분석 및 광고 전략 수립에 활용된다.
27 매체 점유율 (Media Share) 특정 광고 매체가 전체 광고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광고 효과를 비교하는 데 활용된다.
28 디지털 빌보드 (Digital Billboard) LED 디스플레이 등을 활용한 전자식 옥외광고로, 동적인 콘텐츠를 통해 광고 효과를 극대화한다.
29 개찰구 광고 (Gate Advertising) 지하철 개찰구 주변에 설치되는 광고로, 대중교통 이용자들에게 높은 노출 효과를 제공한다.
30 래핑 광고 (Wrapping Advertisement) 버스, 지하철, 차량 등의 외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의 광고로, 이동하면서 많은 노출을 유도할 수 있다.
31 노출-인지 단계 (Exposure-Awareness Phase) 광고가 소비자에게 노출된 후 브랜드 인지로 이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32 고객 생애 주기 (Customer Lifecycle) 고객이 브랜드와 상호작용하는 전체 과정으로, 인지도 형성부터 재구매에 이르기까지의 단계를 포함한다.
33 도달률 (Reach Rate) 전체 타깃 오디언스 중에서 광고에 실제로 노출된 사람들의 비율을 의미한다.
34 대세감 (Trend Momentum) 소비자들이 특정 브랜드나 제품을 현재 트렌드로 인식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35 지오비전 데이터 (Geovision Data) 위치 기반 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비자의 이동 패턴과 행동을 분석하는 데이터이다.
36 옥외광고 매체 (Out-of-Home Advertising Media) 건물 외부, 대중교통, 공공장소 등에 설치된 광고 매체를 의미하며, 대형 빌보드, 지하철 광고, 버스 광고 등이 포함된다.
37 광고 성과 측정 (Ad Performance Measurement) 광고 캠페인의 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으로, 클릭률(CTR), 노출 수(Impression), ROAS 등의 지표를 활용한다.
38 마케팅 퍼널 (Marketing Funnel) 소비자가 제품이나 브랜드를 인지하고 구매하는 과정까지의 단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개념으로, 인지도 → 관심 → 구매 고려 → 전환 등으로 구성된다.
39 고객 경험 데이터 (Customer Experience Data) 소비자가 브랜드와 상호작용한 경험을 분석하는 데이터로, 고객 리뷰, 서비스 피드백, 사용자 행동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40 소비자 구매 여정 (Consumer Journey)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탐색하고 구매하는 과정 전반을 의미하며, 고객 접점(온라인, 오프라인)에서의 경험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41 신경과학 기반 광고 효과 연구 (Neuroscience-Based Ad Effectiveness Research) 소비자의 뇌 활동과 감정 반응을 분석하여 광고 효과를 연구하는 기법으로, 뇌파 측정(EEG)이나 생체 반응 분석을 활용한다.
42 옥외광고 미디어랩 (Out-of-Home Media Lab) 옥외광고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새로운 광고 기술을 실험하는 연구 공간으로, 소비자 반응 데이터 분석을 포함한다.
43 실시간 성과 트래킹 (Real-Time Performance Tracking) 광고 캠페인의 실시간 성과를 모니터링하는 기술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즉각적인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44 브랜드 인지 캠페인 (Brand Awareness Campaign)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알리고 친숙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광고 캠페인으로, 대중 매체, SNS, 옥외광고 등이 활용된다.
45 광고 타깃팅 (Ad Targeting) 특정 소비자 그룹을 대상으로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기법으로, 연령, 성별, 관심사, 위치 데이터 등을 활용한다.
46 브랜드 포지셔닝 (Brand Positioning) 소비자 인식 속에서 브랜드가 차지하는 위치를 전략적으로 설정하는 과정으로,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화 요소를 강조한다.
47 광고 집행 전략 (Ad Execution Strategy) 광고를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전략으로, 목표 타겟, 예산, 채널, 콘텐츠 유형 등을 포함한다.
48 광고 지면 (Ad Placement) 광고가 게재되는 위치나 공간을 의미하며, 온라인 광고에서는 웹사이트 배너, SNS 피드 광고 등이 해당된다.
49 광고 리콜율 (Ad Recall Rate) 소비자가 광고를 본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도 기억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광고의 효과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50 광고 ROI (Return on Investment in Advertising) 광고비 대비 얼마나 많은 수익을 창출했는지를 평가하는 지표로, 광고의 비용 효율성을 분석하는 데 활용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