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 서울 읍면동별 5세 기준 인구수 (2024년 6월 기준)
행정구역(동읍면)별2024.06계0 - 4세5 - 9세10 - 14세15 - 19세20 - 24세25 - 29세30 - 34세35 - 39세40 - 44세45 - 49세50 - 54세55 - 59세60 - 64세65 - 69세70 - 74세75 - 79세80 - 84세85 - 89세90 - 94세95 - 99세100+서울특별시9,366,283206,373291,081353,107374,736546,064790,050788,646645,125725,235674,612787,062708,649701,734621,480426,787327,566232,828116,10338,3989,1361,511종로구139,1892,2913,4154,4545,1679,00412,43611,1628,4029,6499,12712..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4. 7. 18.
-
1991~2023 한국 월별 출생아수 추이 (그래프 / 표)
1991~2023 2011~2023 2017~2023 1991.01 71,336 1991.02 71,897 1991.03 53,812 1991.04 53,940 1991.05 54,268 1991.06 50,729 1991.07 55,195 1991.08 56,054 1991.09 58,557 1991.1 62,290 1991.11 59,956 1991.12 61,241 1992.01 71,945 1992.02 72,435 1992.03 57,645 1992.04 57,983 1992.05 56,548 1992.06 54,395 1992.07 56,424 1992.08 57,607 1992.09 60,199 1992.1 63,420 1992.11 60,482 1992.12 61,595 1993.01 69..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12. 28.
-
위험성 평가 :: 위해성(Hazard), 노출성(Exposure), 취약성(Vulnerability) // 저감성(Mitigation Capacity)
위험성 평가에서 '위해성(Hazard)', '노출성(Exposure)', 그리고 '취약성(Vulnerability)'은 중요한 세 가지 구성 요소입니다. 이들 각각의 개념과 그들이 어떻게 위험성 평가에 기여하는지에 대해 전문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위해성 (Hazard): 위해성은 특정 지역이나 인구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잠재적인 원인 또는 사건을 의미합니다. 이는 자연재해(지진, 홍수, 태풍 등), 기술적 재해(산업 사고, 핵사고), 생물학적 위험(전염병, 해충 발생)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습니다. 위해성 평가는 해당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과 그 강도를 평가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노출성 (Exposure): 노출성은 특정 위험에 노출된 사람들, 자산, 시스템의 양을 나타냅니다. 이는 위해성이 발생했을..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1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