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지리] 도상학 (iconography)
신문화지리학자들의 "도상학" 이론은 대체로 공간과 장소가 어떻게 '문화적으로' 이해되고 표현되는지를 다룹니다. 이 이론은 지리학, 문화연구, 신문화연구 등에서 주목받으며, 대표적으로 에드워드 W. 세이드 (Edward W. Said), 데이비드 하비 (David Harvey), 덴리스 코스그로브 (Denis Cosgrove) 등이 연구를 이끌어 왔습니다. 도상학의 주요 관심사는 '지도'나 '표상'이 단순히 물리적인 세계를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 자체로도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의미를 생성하고 전달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지도는 종종 '객관적'이라고 생각되지만, 실제로는 어떤 정보를 표시하고 어떤 정보를 숨기는 등의 선택이 이루어지며, ..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9. 11.
-
[문화지리] 포지셔널리티(Positionality)
문화지리에서의 "포지셔널리티(Positionality)"는 연구자나 참여자가 특정 공간, 시간, 문화적 맥락 속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를 고려하는 개념입니다. 포지셔널리티는 연구자의 성별, 인종, 계층, 국적, 성적 지향, 종교 등 다양한 사회적 및 문화적 변수에 의해 형성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수들은 연구 대상이나 현상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 영향을 미치며, 때로는 연구 결과의 편향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양 문화에 기반한 연구자가 아시아나 아프리카의 특정 문화를 연구할 때 그의 포지셔널리티는 연구 대상에 대한 이해와 해석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연구자의 문화적, 지리적, 사회적 위치가 연구 과정과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연구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9. 11.
-
[도시지리] 창조도시(Creative City)/플로리다/카베스
창조도시(Creative City)는 창의력과 문화 자산을 핵심 경제 요인으로 활용하여 지역 발전을 촉진하는 도시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도시는 문화, 예술, 혁신, 기술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산업과 사회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창조도시의 개념은 영국의 도시계획가와 이론가인 찰스 랜드리(Charles Landry)가 1980년대에 도입하였으며, 이후로 전세계 여러 도시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습니다. 주요 특성 창의력과 혁신: 창조도시는 창의력과 혁신을 중시하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합니다. 문화 자산의 활용: 미술관, 박물관, 공연장, 창작 스튜디오 등 문화와 예술 관련 시설이 많습니다. 다양한 산업 발전: 창의적 산업뿐만 아니라, 고전적인 제조 산업, 서비스 산업 등도 창의력..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9. 11.
-
[도시지리] 도시 성장 관리(Urban Growth Management)
도시 성장 관리(Urban Growth Management)는 도시와 그 주변 지역에서의 발전과 확장을 통제하고 조절하는 일련의 정책, 계획, 규제 방안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토지 사용, 교통, 인프라, 환경 보호, 주거 밀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합니다. 도시 성장 관리의 주요 목표는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도시 개발을 촉진하는 것입니다. 주요 전략과 도구 토지 사용 계획: 어떤 지역에 상업, 주거, 농업, 레크레이션 등 다양한 토지 사용을 할 것인지를 계획합니다. 도시 개발 제한: 자연 보호지역, 농업용지 등 특정 지역에서의 개발을 제한하여 지속 가능성을 높입니다. 교통 계획: 공공 교통 개선, 자전거 도로 구축, 보행자 친화적인 도시 설계 등을 통해 교통 체증을 완화하고 환경을 보호합니다. ..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9. 11.
-
[도시지리] 다중심 도시권(polycentric urban regions, PUR)
"Polycentric Urban Regions" (PUR)는 한 개의 대도시가 아니라 여러 개의 도시나 도시 지역들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의 도시 지역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형태의 도시 구조는 경제적, 사회적, 그리고 교통적으로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고속도로, 철도, 공항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통해 연결됩니다. 전통적인 '단일 중심' 도시 모델과 달리, 다양한 중심지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각 도시가 각자 다른 역할을 하며, 경제적 특성, 산업 분야, 문화 등에서 차별화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PUR 모델은 다양한 장점이 있습니다: 유연성: 하나의 도시가 위기에 빠졌을 때, 다른 도시들이 그 부담을 분산시켜 줄 수 있습니다. 전문화: 각 도시가 자신의..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9. 11.
-
[도시지리] 세계도시 이론/프리드만/사센/테일러
세계도시 (World Cities or Global Cities) 세계도시는 그 영향력과 기능이 국경을 넘어 세계적인 범위로 확장된 대도시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도시들은 국제 금융, 정치, 커뮤니케이션, 문화,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심 역할을 하며, 글로벌 경제체계 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세계도시는 종종 국제기구의 본부, 다국적 기업, 세계적인 연구 기관 등이 위치해 있습니다. 프리드만 (John Friedmann)의 이론 John Friedmann은 세계 도시 체계 이론(World City Hypothesis)을 개발했습니다. 프리드만에 따르면 세계도시는 글로벌 경제 체계의 허브로서, 자원, 자본, 정보, 인력 등을 흐름과 관리의 중심지로서 작용한다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도시들은 종종 '..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9.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