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도시] 도시공간구조 대전환이란?

김 홍시 2024. 12. 5.
반응형

도시공간구조 대전환은 도시의 기존 공간구조를 근본적으로 재편하거나 변화시키는 과정 또는 개념을 의미합니다. 이는 도시의 사회·경제적, 환경적, 기술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도시가 물리적, 기능적, 운영적 측면에서 새로운 구조로 전환되는 것을 포함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의와 배경

도시공간구조 대전환은 주로 다음과 같은 배경에서 발생합니다:

  • 산업구조의 변화: 제조업 중심의 경제에서 서비스, IT, AI 기반의 경제로 전환.
  • 인구구조 변화: 저출산·고령화, 인구 밀도의 변화, 대규모 도시화 혹은 인구의 역도시화(탈도시화).
  • 기후변화와 환경문제: 지속 가능한 도시 설계를 위한 에너지 전환과 녹색 인프라 확대.
  • 기술 혁신: 자율주행, IoT, 스마트시티와 같은 기술 발전.
  • 생활 패턴의 변화: 원격 근무, 온라인 쇼핑 증가 등으로 인해 전통적인 도시 구조의 필요성이 변화.

2. 주요 전환 방향

  1. 다핵화 구조로의 전환
    • 기존의 단일 중심지(CBD, Central Business District) 중심에서 벗어나 여러 개의 중심지(다핵화)로 도시를 분산시켜 교통 혼잡과 지역 불균형 문제를 해결.
    • 예: 서울의 강남·광화문·여의도 등 다중 중심지 전략.
  2. 스마트시티로의 전환
    • 도시 내 각종 데이터를 활용한 효율적 관리.
    • 자율주행차, 스마트 빌딩,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 도입.
  3. 녹색 전환과 지속 가능성
    • 도시 내 녹지공간 확대, 에너지 자립도 증대.
    • 탄소중립 목표에 따라 도시 설계를 재구성.
  4. 15분 도시
    • 도시 내에서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이 15분 거리 안에 있는 구조로 전환.
    • 도보와 자전거 중심의 교통 체계 구축.
  5. 기반시설의 재배치
    • 기존의 대규모 기반시설(예: 공장, 물류센터)을 외곽으로 이전하고, 중심부를 주거·문화·녹지 공간으로 재구성.
  6. 자족형 커뮤니티 중심
    • 교외 지역에도 일자리와 생활 기반을 제공하여 중심 도시로의 집중을 줄이고, 지역 내에서 모든 필요를 해결하도록 설계.

3. 실제 사례

  • 싱가포르: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구축, 친환경 건물 설계.
  • 파리: 15분 도시(Paris en Commun) 프로젝트로 모든 생활 인프라를 근거리에서 해결하는 도시 구조 구축.
  • 한국:
    • 세종시: 다핵화와 자족형 도시 설계.
    • 부산 에코델타시티: 수변 친화형 스마트시티.

4. 기대 효과

  • 사회적 효과: 삶의 질 향상, 교통 혼잡 완화, 지역 간 격차 해소.
  • 경제적 효과: 효율적 자원 사용, 새로운 산업 및 일자리 창출.
  • 환경적 효과: 온실가스 배출 감소, 기후변화 대응.

5. 도전 과제

  1. 기존 이해관계자와의 갈등
    • 예: 도시 재개발 시 기존 주민과의 갈등.
  2. 막대한 초기 비용
    • 새로운 인프라 구축에 따른 경제적 부담.
  3. 기술 및 데이터 활용 한계
    • 기술적 문제와 데이터 프라이버시 이슈.
  4. 정책적 연속성 부족
    • 장기적인 도시계획에 대한 정책적 지속 가능성 부족.

6. 결론

도시공간구조 대전환은 단순히 도시의 물리적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미래 사회와 기술, 환경 변화에 맞춰 도시 기능을 혁신적으로 재구성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성공적으로 추진하려면 주민 참여, 장기적인 비전,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