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ngsi's Study544 [경제] 공유지의 비극 개념 정리 공유지의 비극(Tragedy of the Commons)은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할 때 공유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장기적으로 전체 집단의 복리를 해치는 사회-경제적 문제를 말합니다. 이 개념은 경제학자인 개릿 하딘(Garrett Hardin)이 1968년에 발표한 논문 "The Tragedy of the Commons"를 통해 널리 알려졌습니다. 전공생 수준에서 이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몇 가지 핵심 개념들을 이해해야 합니다: 공유 자원(Commons): 공유지는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자원으로, 공기, 바다, 공공지, 어업 자원 등과 같이 개인 소유가 아닌 자원을 말합니다. 자유방임주의(Laissez-faire): 공유지의 비극은 자유방임주의적 상황, 즉 개인이나 기업이 자원.. 💖 Hongsi's Study/💰 경제 2023. 11. 7. [부동산] Automated Valuation Model (AVM)이란? Automated Valuation Model (AVM)이란? Automated Valuation Model (AVM)은 주로 부동산 가치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되는 통계 기반의 기술입니다. AVM은 여러 데이터 소스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복잡한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특정 부동산의 가치를 추정합니다. 주로 온라인 부동산 데이터베이스, 공공 기록 및 다른 부동산 관련 데이터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 원본을 활용합니다. AVM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빠른 결과: AVM은 거의 즉시 부동산의 가치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부동산 평가 접근법에 비해 빠른 시간 내에 가치 평가를 제공하는 것이 큰 장점입니다. 객관성: AVM은 데이터와 알고리즘에 기반하므로, 평가사의 주관적 판단이나 편견의 영향을 받지.. 💖 Hongsi's Study/🏠 부동산 2023. 10. 22. [훈령]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 정책협의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 제1조(목적) 이 훈령은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밀접한 사회기반시설의 확충·공급을 범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 정책협의회를 설치하고, 그 구성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훈령에서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이하 "생활SOC"라 한다)이란 보육시설·의료시설·복지시설·교통시설·문화시설·체육시설·공원 등 일상생활에서 국민의 편익을 증진시키는 모든 시설을 말한다. 제3조(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 정책협의회의 설치) 생활SOC 공급에 관한 정책 등을 협의·조정하기 위하여 국무총리 소속으로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 정책협의회(이하 "협의회"라 한다)를 둔다. 제4조(협의회의 기능) ① 협의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협의·조정한다. 1.. 💖 Hongsi's Study/👩🏻⚖️ 법령・제도 2023. 10. 10. [공간분석] 다익스트라 Dijkstra 알고리즘 Dijkstra의 알고리즘은 그래프 검색 알고리즘으로 그래프의 단원 최단 경로 문제를 음이 아닌 에지 가중치로 해결하여 최단 경로 트리를 생성합니다. 이 알고리즘은 컴퓨터 과학 분야에 존재하며 지리학 연구 내에 엄격하게 존재하지는 않지만 지리 정보 시스템(GIS) 및 공간 분석 분야에 응용되고 있습니다.기본적인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다이크스트라의 알고리즘:초기화:모든 노드를 방문하지 않음으로 표시합니다.시작 노드까지의 거리를 0으로 설정하고 다른 모든 노드의 거리를 무한대로 설정합니다.시작 노드를 현재 노드로 설정합니다.주 루프:현재 노드의 경우 모든 인접 노드를 고려합니다.각 이웃까지의 잠정 거리를 계산합니다.새 임시 거리가 해당 인접에 대해 현재 기록된 거리보다 작을 경우 해당 인접에 대해 최단 거..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10. 10. [도시] 접근성 측정 방법 접근성 측정을 위한 일반적 방법 ◦ 컨테이너 방식: 행정구역별 수요자 수 대비 서비스 양을 비교하는 방식 ex. “행정구역별 인구 10만 명당 병원 수” 하지만 수요자가 반드시 특정 행정구역의 서비스 시설만 이용하는 것은 아니고 지역 내에 시설이 있다고 하더라 도 수요자의 시공간적 범위 내에서 실제로 그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측정이 요구된다는 면에서 한계가 있음. ◦ 공간적인 측정 방식: 수요자가 행정경계를 가로질러 이동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소요 거리나 시간 등을 고려하는 방법들임. - 거리 기반 접근성: 가장 가까운 시설까지의 거리(직선거리, 도로 거 리, 통행 시간 거리 등)로 측정 - 공간상호작용 기반의 접근성: 수요지에서 서비스 지점들까지의 거 리 비용(거리 조락 효과)을 반영 -..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10. 10. [노인복지]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란? :: GNAFCC / WHO Global Network for Age-friendly Cities and Communities 고령친화도시 및 지역사회를 위한 WHO 글로벌 네트워크(종종 GNAFCC로 약칭)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주도하는 이니셔티브입니다. 노인 거주자의 요구를 더 잘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전 세계 도시와 지역 사회 간의 경험 교환과 상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이 이니셔티브의 주요 특징과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고령친화적 환경 증진: 목표는 환경을 더욱 포용적이고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 사람들이 적극적이고 건강하게 늙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2. 도시 생활의 8개 영역: 네트워크의 접근 방식은 노인들의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8개 영역을 중심으로 구축되었습니다. 이러한 도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야외 공간 및 건물 운송 주택 사회참여 존중과 사회적 포용 시민참여와 고용.. 💖 Hongsi's Study/👴🏻 사회복지 2023. 10. 3. [공간 분석] 시설에 대한 spatial equilibrium 시설에 대한 "Spatial Equilibrium"은 시설의 위치, 종류, 크기 등이 공간 내에서 어떻게 분포해야 이들 시설과 이용자 간의 효율이 극대화되는지를 연구하는 개념입니다.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대중교통, 헬스케어, 교육 등 다양한 공공 서비스와 시설의 최적의 위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1. 공공 서비스의 접근성: Spatial Equilibrium은 공공 서비스 시설이 공간 내에서 균등하게 분포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면 각 지역의 주민들이 필요한 서비스에 공정하게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2. 최적의 위치 결정: 시설의 위치는 이용자들과의 거리, 교통, 인구 밀도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Spatial Equilibrium의 목적은 각 시설이 ..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10. 2. [공간 분석] 2SFCA /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method 2SFCA (Two-Step Floating Catchment Area) 모델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을 사용하여 공간 접근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모델은 주로 의료 서비스와 같은 공공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2SFCA 모델은 공간 접근성을 측정하기 위해 두 단계를 거칩니다. 1. 공급 단계(Supply step): 이 단계에서는 각 서비스 제공 지점(예: 병원)에 대해 일정 반경 내에 있는 모든 수요 지점(예: 주거 지역)을 식별합니다. 이 반경은 서비스 제공지와 수요지 사이의 접근성을 정의하는 ‘서비스 반경’으로 설정됩니다. 그런 다음 이 서비스 반경 내의 모든 수요 지점들로부터의 잠재 수요를 합산하여, 각 서비스 제공 지점의 공급 레벨을 조정합..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10. 2. [사회복지] 서울시 2023 세출예산 복지정책실 https://news.seoul.go.kr/gov/archives/544407?listPage=1 2023년 예산서 2023년 세출예산서,세입예산서,명시이월조서,예산 news.seoul.go.kr 출처 💖 Hongsi's Study/👴🏻 사회복지 2023. 10. 2. [노인복지] 서울 구별 노인인구 수 (2022년 기준) 출처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05N&vw_cd=MT_ZTITLE&list_id=A_7&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path=%252FstatisticsList%252FstatisticsListIndex.do KOSIS kosis.kr 행정구역(동읍면)별 2023.08 2023.08 2023.08 2023.08 2023.08 계 60세 이상 60세 이상 비율 65세 이상 65세 이상 비율 서울특별시 9,409,466 2,426,880 0.258 1,708,567 0.182 종로구 140,032 39,729 0.284 28,256 .. 💖 Hongsi's Study/👴🏻 사회복지 2023. 9. 25. [스크랩] SKT, AI로 실내∙외 유동인구 정밀 분석하는 ‘AI유동인구’ 개발 – 위치 분석 플랫폼 ‘리트머스’에 실내 측위 기술 결합해 건물 단위 체류 인구 분석 – 실내 유동인구 데이터는 공공 인프라, 교통, 재난, 환경 등 사업에 활용 가능 – 수도권 및 5대 광역시 상업 건물에 일부 적용… 향후 적용 범위 넓힐 것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유영상, www.sktelecom.com)은 자사의 AI 기반 위치 분석 플랫폼 ‘리트머스(LITMUS)’에 실내 측위 기술을 결합해 실내 유동인구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AI유동인구’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기존 유동인구 분석 기술은 특정 지역 내 기지국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해 실외 이동 인구와 실내 체류 인구의 구분이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SKT는 기지국,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 전파 정보를 통해 실내∙외 인구 ..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9. 19. [스크랩] 명동 A건물 팝업스토어에 참여한 유동인구는 몇 명이나 될까? AI유동인구 기술 명동 A건물 팝업스토어에 참여한 유동인구는 몇 명이나 될까? AI유동인구 기술 기술 2023.09.19 분석 플랫폼 ‘리트머스(LITMUS)’에 실내 측위 기술(PIN)*을 결합해 실내 유동 인구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AI 유동 인구’ 기술을 개발했다. * 실내 측위 기술(PIN): Positioning for Indoor & Network 명동 A건물 팝업스토어에 참여한 유동인구는 몇 명이나 될까? 한국 환경 정책∙평가 연구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통상적으로 24시간 중 21시간을 실내에 체류한다. 즉, 하루의 3시간 정도만 실외 이동을 하고 그의 7배 이상을 실내에 머문다. 기존 유동 인구 분석 기술은 특정 지역 내 기지국 접속 정보를 기반으로 해 실외 이동 인구와 실내 체.. 💖 Hongsi's Study/🌏 지리・도시・공간 2023. 9. 19.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4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