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적경제(Agglomeration Economies), 국지화경제(Localization Economies), 그리고 도시화경제(Urbanization Economies)는 모두 경제활동이 한 지역에 모이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장점과 효율성을 설명하는 개념들입니다. 이들은 기업들이나 산업이 특정 지역에 집중될 때 발생하는 경제적 이점을 나타냅니다.
집적경제 (Agglomeration Economies)
기본적으로 여러 기업이나 산업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면, 그 결과로 원자재, 노동력, 정보, 기술 등의 공유가 쉬워져 경제적 이점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생산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며, 혁신이 촉진될 수 있습니다.
국지화경제 (Localization Economies)
국지화경제는 특정 산업이나 분야에 특화된 형태의 집적경제를 의미합니다. 같은 또는 유사한 산업의 기업들이 특정 지역에 모이면, 그 산업에 특화된 노동력, 서비스, 공급망 등을 공유할 수 있어 경제적 이점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실리콘 밸리에서의 IT 기업 집중, 홍콩의 금융 중심지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도시화경제 (Urbanization Economies)
도시화경제는 다양한 산업과 활동이 큰 도시나 도시 권역에 집중됨으로써 발생하는 집적경제의 한 형태입니다. 이는 산업의 다양성이 높아지고, 따라서 노동 시장, 상품 시장, 정보 시장 등에서의 선택권이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경제적 이점을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더 큰 시장, 더 다양한 노동력, 더 많은 정보와 기술 등이 공유될 수 있습니다.
이들 개념은 지리학, 도시계획, 경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며, 기업의 입지 선택, 도시 및 지역 발전 전략, 국가 경제 정책 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관계성
- 집적경제는 가장 일반적인 용어입니다. 이는 여러 기업이나 산업이 같은 지역에 위치할 때 발생하는 경제적 이점을 포괄적으로 설명합니다. 이러한 이점은 국지화경제와 도시화경제 모두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국지화경제는 집적경제의 한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특정 산업이나 분야에 특화된 형태의 집적경제가 중심입니다. 국지화경제는 같은 또는 유사한 산업의 기업들이 모여 특화된 노동력, 서비스, 정보 등을 공유하는 형태로 발생합니다.
- 도시화경제 역시 집적경제의 한 형태입니다. 다만, 국지화경제가 특정 산업에 초점을 맞춘다면, 도시화경제는 다양한 산업과 활동이 함께 모여 있는 도시에서 발생하는 이점을 설명합니다.
상호작용
- 국지화경제와 도시화경제는 상호 보완적이다. 예를 들어, 특정 산업에 특화된 지역(국지화경제)이 큰 도시 안이나 주변에 위치한다면, 그 지역의 기업들은 도시화경제의 이점 (다양한 노동 시장, 다양한 소비자 등)도 함께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 동일한 지역에서 국지화경제와 도시화경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 그 지역은 더 빠르게 성장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런 현상은 대형 도시나 메트로폴리탄 지역에서 흔히 관측됩니다.
'💖 Hongsi's Study > 🌏 지리・도시・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지리] 산업클러스터 / 산업집적지 (0) | 2023.09.11 |
---|---|
[경제지리] 공간분업 / 신공간분업 (0) | 2023.09.11 |
[경제지리] 베버의 공업입지론 (0) | 2023.09.11 |
[경제지리] 튀넨의 고립국 이론 (0) | 2023.09.11 |
[도시지리] 젠트리피케이션/Ley/Smith/이론/한국 사례 (0) | 2023.09.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