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탈러(Cristaller)의 중심지 이론은 도시와 마을, 또는 일반적으로는 중심지가 어떻게, 어디에 형성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지리학적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1933년 독일의 지리학자 발터 크리스탈러(Walter Christaller)에 의해 발표되었습니다. 중심지 이론은 주로 경제적 요인에 기반하여 중심지의 위치와 크기, 기능 등을 분석합니다.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은 몇 가지 기본 가정에 기반합니다:
- 표면은 균일하다: 자원, 인구, 기회 등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 인구는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 모든 소비자는 동일한 소득과 동일한 구매력을 가지고 있다.
- 모든 소비자는 가장 가까운 중심지에서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다.
크리스탈러는 중심지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합니다.
- 상위 중심지 (Higher-order centers): 더 많은 종류의 물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큰 도시
- 중간 중심지 (Middle-order centers): 중간 수준의 물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간 크기의 도시
- 하위 중심지 (Lower-order centers): 기본적인 물품과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작은 마을
이 이론은 '유효범위'(range)와 '임계인구'(threshold)라는 두 가지 중요한 개념을 도입합니다. '유효범위'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이 이동할 의향이 있는 최대 거리를, '임계인구'는 특정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인구를 의미합니다.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은 주로 유럽과 같이 상대적으로 평평하고 자원이 고르게 분포된 지역에서 더 잘 작동합니다. 이 이론은 도시계획, 경제학, 지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개념
- 임계인구 (Threshold): 특정 서비스나 상품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인구 또는 수요입니다. 예를 들어, 병원, 고등학교, 대형 슈퍼마켓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임계인구를 요구할 것입니다.
- 유효범위 (Range): 특정 서비스나 상품에 대한 소비자들이 이동할 의향이 있는 거리입니다.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물품이나 서비스(예: 식료품)는 짧은 유효범위를 가지며, 특별한 물품이나 서비스(예: 특수한 의료 시술)는 긴 유효범위를 가질 수 있습니다.
- 중심지 등급 (Order of centers): 크리스탈러는 상품과 서비스의 다양성에 따라 중심지를 분류합니다. 상위 중심지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하위 중심지는 기본적인 상품과 서비스만을 제공합니다.
중심지 분포의 패턴
크리스탈러의 이론에 따르면, 중심지는 특정한 패턴으로 분포됩니다. 가장 간단한 형태는 '육각형 격자'입니다. 이 육각형 격자 내에서:
- 가장 중앙에는 상위 중심지가 위치합니다.
- 그 주변을 중간 중심지가 둘러싼다.
- 그 다음으로 더 작은 하위 중심지가 위치한다.
이렇게 분포하게 되면 각각의 중심지가 특정 유효범위와 임계인구를 가지며, 서로 경쟁하지 않고 공존할 수 있습니다.
이론의 한계와 확장
이 이론은 균일한 지형과 인구 분포를 가정하기 때문에, 현실 세계에서는 여러 제약 사항과 한계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이론은 도시나 마을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오늘날에는 이 이론이 다양하게 확장되고 수정되어, 산악 지형, 비균일한 인구 분포 등 다양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습니다.
'💖 Hongsi's Study > 🌏 지리・도시・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지리] 교외화(Suburbanization) / 거주교외화/고용교외화 (0) | 2023.09.11 |
---|---|
[도시지리] 도시 입찰지대론(Bid-rent theory) (0) | 2023.09.11 |
[경제지리] 신경제지리학 (New Economic Geography) (0) | 2023.09.11 |
[경제지리] Jacobs 외부효과(Jacobs' Externality) / 다양성 (0) | 2023.09.11 |
[경제지리] 외부경제 (External Economies) (0) | 2023.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