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외화(Suburbanization)는 도시의 중심부에서 주변 지역으로 인구와 자원이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는 도시의 확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주택, 상업, 산업 등이 도시의 외곽지역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교외화는 여러 가지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그 결과로 다양한 장단점이 생깁니다.
원인
- 공간적 제약: 도시 중심지는 땅값이 높고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새로운 개발이 어렵습니다.
- 교통의 발전: 자동차, 대중교통 등이 발전함으로써 도시 중심과 외곽을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주거 환경: 교외 지역은 일반적으로 도시 중심보다 주거 환경이 좋다고 여겨집니다(예: 더 넓은 주택, 정원, 좋은 학교 등).
- 경제적 요인: 땅값과 건축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개발자와 기업에게 유리합니다.
- 정책적 요인: 여러 경우에 있어 정부 정책이 교외화를 촉진하기도 합니다(예: 주택 구입을 위한 세제 혜택, 고속도로 건설 등).
장단점
장점
- 공간 활용: 더 넓은 지역에 걸쳐 개발이 이루어져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 경제 활성화: 새로운 개발이 이루어짐으로써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킵니다.
- 생활 품질: 교외 지역은 일반적으로 더 넓은 주택, 좋은 학교, 낮은 범죄율 등을 제공하여 생활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단점
- 교통 문제: 교외와 도시 중심을 이동하는 대량의 교통이 발생하여 교통 체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환경 부담: 자연 환경을 파괴하여 개발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동차 이용이 늘어나면서 대기오염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 사회적 분열: 도시 중심의 빈곤층과 교외의 중산층 사이에 경제적, 사회적 격차가 벌어질 수 있습니다.
교외화는 선진국뿐만 아니라 개발도상국에서도 볼 수 있는 현상이며, 도시 계획과 발전 전략에 있어 중요한 고려사항입니다.
거주교외화(Residential Suburbanization)와 고용교외화(Employment Suburbanization)는 교외화의 두 가지 주요 형태입니다. 각각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며, 특징과 영향이 다릅니다.
거주교외화 (Residential Suburbanization)
- 정의: 거주교외화는 도시 중심지에서 주거 지역이 교외로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원인: 주로 높은 땅값, 밀집된 주거 환경, 높은 범죄율 등 도시 중심의 문제점을 피하고 더 나은 주거 환경을 찾기 위함입니다. 또한, 자동차와 고속도로의 발전이 이 현상을 촉진합니다.
- 영향: 거주교외화는 교외 지역에서의 주택 가격 상승, 도시 중심의 인구 감소, 교통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고용교외화 (Employment Suburbanization)
- 정의: 고용교외화는 기업과 작업장이 도시 중심에서 교외로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 원인: 도시 중심의 높은 임대료와 부족한 공간, 그리고 규제 등을 피해 더 넓고 저렴한 공간에서 사업을 운영하려는 기업의 의도가 큽니다. 이러한 이동은 종종 새로운 교통 수단의 발전과 함께 이루어집니다.
- 영향: 고용교외화는 도시 중심의 일자리 감소와 그에 따른 사회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교외 지역에서는 새로운 일자리가 생기고 경제가 활성화됩니다.
거주교외화와 고용교외화는 서로 연관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용교외화가 진행되면 그로 인해 교외 지역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교외에 거주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 두 현상은 도시 계획, 교통 계획, 지역 경제 발전 전략 등에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요소들입니다.
반응형
'💖 Hongsi's Study > 🌏 지리・도시・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지리] 다중심 도시권(polycentric urban regions, PUR) (0) | 2023.09.11 |
---|---|
[도시지리] 세계도시 이론/프리드만/사센/테일러 (0) | 2023.09.11 |
[도시지리] 도시 입찰지대론(Bid-rent theory) (0) | 2023.09.11 |
[도시지리]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 (Cristaller's Central Place Theory) (0) | 2023.09.11 |
[경제지리] 신경제지리학 (New Economic Geography) (0) | 2023.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