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게스티메이션(Guestimation)은 "Guess(추측)"와 "Estimation(추정)"의 합성어로, 주어진 문제에 대해 명확한 데이터나 정보 없이도 논리적 사고와 근사치 계산을 통해 답을 추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주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과정에서 논리적인 접근법과 숫자 기반 사고를 평가하기 위해 경영 컨설팅, 면접, 데이터 분석 등의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게스티메이션의 특징
- 정확성보다는 논리와 접근 방식에 중점
- 정확한 숫자를 산출하는 것보다 문제를 푸는 논리적인 과정과 접근법을 평가합니다.
- 추정을 위한 가정의 타당성과 이를 뒷받침하는 이유가 중요합니다.
- 단순화된 문제 정의
- 문제를 간단히 정의하고 세부적인 단계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단순화하고, 중요한 요소만 반영합니다.
- 근사값 계산
- 필요한 데이터가 없을 경우, 상식이나 일반적인 정보를 기반으로 근사치를 사용합니다.
게스티메이션의 단계
- 문제 정의
- 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 해결하려는 질문을 명확히 합니다.
- 예: "서울의 하루 택시 운행 수는 몇 대일까?"
- 논리적 가정 설정
- 문제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를 나열하고, 필요한 데이터를 가정합니다.
- 예: 서울의 인구, 택시 이용률, 하루 평균 택시 이용 횟수 등.
- 세부 단계로 분해
- 큰 문제를 작은 단계로 나눠 접근합니다.
- 예:
- 서울 인구의 10%가 택시를 이용한다.
- 하루 평균 1명의 이용객이 2번 택시를 탄다.
- 서울에 등록된 택시는 몇 대인지?
- 계산 및 검토
- 각 단계에서 계산한 값을 종합하여 결과를 추정합니다.
- 결과가 현실적이고 논리적인지 검토합니다.
게스티메이션 예제
예제: 하루에 서울에서 소비되는 커피 컵 수는 몇 잔인가?
- 문제 정의
- 목표: 서울의 하루 커피 소비량을 추정.
- 논리적 가정
- 서울 인구: 약 1천만 명.
- 성인의 비율: 70% (약 700만 명).
- 커피를 마시는 사람의 비율: 50% (약 350만 명).
- 하루 평균 커피 소비량: 1인당 2잔.
- 단계별 계산
- 커피 소비 인구: 700만 × 50% = 350만 명.
- 하루 커피 소비량: 350만 명 × 2잔 = 700만 잔.
- 결론
- 서울에서는 하루 약 700만 잔의 커피가 소비됩니다.
게스티메이션 면접에서의 팁
- 체계적으로 사고하기
- 가정을 설정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설명합니다.
- "왜 그렇게 가정했는가?"를 면접관에게 명확히 전달합니다.
- 현실적 가정
- 너무 비현실적인 수치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상식에 기반한 추정을 합니다.
- 명확한 커뮤니케이션
- 계산 과정을 조리 있게 설명하며, 면접관과 의사소통합니다.
- 숫자에 유연하게 대처
- 계산 과정에서 약간의 실수가 있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논리적인 흐름을 유지합니다.
게스티메이션은 단순히 숫자를 추정하는 것을 넘어, 논리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입증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연습할 때 다양한 주제에 대해 근사치를 추정하는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ℹ️ Information > 📃 직무탐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준] 국민내일배움카드 지원대상 및 휴직기간 변경 (실업사 - 재직자 바꾸기) (0) | 2024.12.12 |
---|---|
[교육정보] 서울대학교빅데이터AI 핀테크고급 전문가 과정 10기 (0) | 2024.12.02 |
[취업준비] 경력기술서 작성법? 이력서와의 차이? (0) | 2024.11.27 |
[채용공고] 2024 대한항공 전문인력 모집 (신입/경력) (0) | 2024.11.26 |
[기업 정보] 올리브영 인재상 (0) | 2024.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