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96 [GIS] 디지털 3D 지도 제작 과정, 2D지도와의 차이 정리 2D 지도 VS. 3D 지도 2D 기존에는 레이어 기반의 개념을 사용 통계지도 : 행정동 단위 / 집계구 단위로 색상 다르게 적용됨 3D 레이어가 아닌 포인트 단위로 관점이 바뀜 하나의 토지, 자동차 등등 그 위치를 기반으로 내 위 아래 좌 우, 3D 중심의 입체적 체계로 변화함 행정구역 뿐만 아니라 그 속의 건물 단위로 표현함 DEM + 건물정보 + 도로정보 함께 사용 가능 제작 과정 - 기존 방식 : 항공사진, 지상측량 등 단일 센서 사용 - 이후 : 항공용 수직카메라, 45도 경사카메라, 고밀도 LiDAR 통합 센서, 한 번의 비행으로 여러 데이터 취득 가능함 LiDAR 데이터 기반 3D 자동 구축 과정 - 라이다 촬영 - 건물 추출 - 건물 형태 모델링 - 텍스처 맵핑 🗺️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 2023. 6. 3. [GIS] 고정밀 도로지도의 개념 고정밀 도로지도 vs. 내비게이션 고정밀 도로지도 (High Definition Map) : 자율주행차가 활용하는 지도. 기계를 위한 지도임. 수학적 모델로 만들어진 지도임. (.xml 언어). lines, arcs, spirals 등 곡률과 회전 반경 정보가 필요함. 차선 단위 지도. 25cm 이내의 정밀도. 차선, 신호등, 표지판 등의 도로환경 및 상태 대한 정보. 3차원 입체지도 내비게이션 : 사람을 위한 지도. 노드와 링크가 연결된 네트워크 구조. 도로 단위 지도. 1-3m 정도의 정밀도 자율주행 단계L1 ~ L3 : 자동화보조주행L-3~L5 : 자율주행 센서 + 정밀도로지도-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차가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고 최적의 길을 찾아가는 데 쓰이는 것. 차 안에 장착된 센서와 결합 .. 🗺️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 2023. 6. 3. [GIS] 국토지리정보원 국토정보플랫폼 정밀도로지도 http://map.ngii.go.kr/ms/map/NlipMap.do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선택 선택 map.ngii.go.kr 정밀도로지도란? 도로 및 주변시설에 대한 3차원 고정밀 데이터 자율주행 등에 필요한 차선(규제선, 도로경계선, 정지선, 차로중심선), 도로시설(중앙분리대, 터널, 교량, 지하차도), 표지시설(교통안전표지, 노면표시, 신호기) 정보를 3차원으로 제작한 전자지도 정밀도로지도의 제작 최첨단 측량기법과 데이터 구축 기술의 결합 다양한 센서가 결합된 MMS 측량으로 고정밀 데이터 획득 01. 작업계획 02. 데이터획득 03. 점군데이터 생성 04. 객체 도화 및 편집 정밀도로지도 활용 분야 민·관 기관, 기업 무상 제공 자율 주행차 기술 개발 지원 국가기본도 수정·갱신 도로관리 재.. 🗺️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 2023. 6. 3. [GIS/RS] Dasymetric Mapping 대시메트릭 매핑 개념 1. 실제 세계에서는 사람들이 사는 곳도 있고 살지 않는 곳도 있다. 즉 불균등하게 인구가 분포한다. 2. 그런데 일반적인 인구통계는 동/집계구 등 특정 단위로 이들을 모아 (집계하여) 통계를 낸다. 즉, 하나의 동 안에서는 uniform하게 사람들이 분포한다고 '가정'하게 된다. 3. 하지만 우리는 다시 실제의 모습을 알고 싶다. 이럴 때 쓰는 것이 dasymetric 매핑 기법이고, dasymetric 매핑을 위해서는 기존의 인구자료와 함께 보조자료 (ancillary data)가 필요하다. 보조자료에는 LULC(토지용도/피복) 데이터나 건물 (층수, 연면적, 건물용도 등)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 Dasymetric mapping 기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1. binary dasymetric.. 🗺️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 2023. 4. 19. [GIS/RS] Pycnophylactic interpolation 개념 Pycnophylactic 인터폴레이션 방법: 높은 인구 밀도와 행정 구역에 가까운 격자 셀은 낮은 인구 밀도에 가까운 것보다 더 많은 사람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가정함 전체 데이터의 양이 보존되는 특징이 있음. 🗺️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 2023. 4. 19. [GIS] Areal interpolation 영역 보간은 알려진 값이나 속성이 있는 소스 영역에서 알 수 없는 속성이 있는 대상 영역으로 공간 데이터를 변환하는 프로세스입니다. 대상 구역 영역에 대한 소스 구역 속성의 추정치를 생성합니다. 보고 영역의 역사적 경계 변경으로 인한 면적 보고 단위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단일 공간 프레임워크(대상 구역)에 대해 면적 공간 데이터 속성을 정렬하고, 보고 규칙이 다른 도메인의 데이터를 통합하거나 공간적으로 자세한 정보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데이터를 통합합니다. 기본적으로 대상 영역 속성이 소스 영역과 어떻게 관련되는지에 대한 가정이 필요합니다. 영역 보간법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즉, 공간 속성(영역에서 점으로, pycnophylactic 및 면적 가중 보간법) 및 보조 또는 보.. 🗺️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 2023. 4. 18. [GIS/RS] MAUP(Modifiable areal unit problem)이란? 수정 가능한 영역 단위 문제(MAUP)는 데이터 분석을 위한 공간 단위(또는 영역)의 선택이 통계 분석 결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나타내는 공간 분석의 개념입니다. MAUP은 동일한 데이터가 다른 공간 단위로 집계될 수 있기 때문에 발생하며, 이로 인해 데이터에 대한 다른 결론과 해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MAUP은 분석되는 데이터의 유형, 사용되는 공간 단위 및 적용되는 분석 방법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MAUP의 일반적인 형태 중 일부는 다음과 같습니다. 규모 효과: 공간 단위의 크기 또는 해상도를 변경하면 데이터에서 관찰되는 패턴 및 관계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구 조사 지역 대 우편 번호 수준에서 범죄율을 분석하면 단위의 크기와 모양의 차이로.. 🗺️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 2023. 4. 17. [GIS/RS] Dasymetric mapping이란? Dasymetric 매핑은 데이터의 공간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보조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거친 공간 해상도에서 더 미세한 해상도로 데이터를 할당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기술입니다. 이 기법은 연구 영역의 이질성을 고려하여 공간 데이터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토지 사용, 도로 및 건물 발자국과 같은 보조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구 조사 지역의 인구 데이터를 그리드 셀과 같은 더 미세한 해상도로 할당함으로써 도시의 인구 밀도를 추정하는 데 dasymetric 매핑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도시 계획 및 비상 대응에 유용할 수 있는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Dasymetric 매핑은 토지 피복, 식생 및 야생 동물 분포와 같.. 🗺️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 2023. 4. 17. [GIS] 10. 커널 덴서티(kernel density) 학습목표 1) 커널 덴서티의 의미와 활용법을 알 수 있다. 2) 커널 덴서티를 이용하기에 적합한 데이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1. 커널덴서티(kernel density)의 개념 * 밀도 추정 (Density estimation) : 관측된 데이터로부터 변수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값들에 대한 확률을 추정하는 것. 즉, 특정 변수가 가질 수 있는 값의 분포에 대해 추정하는 것. Ex) 오렌지의 표피 색깔 이라는 변수가 있다고 한다면, 이 변수로부터 관측할 수 있는 값의 분포로는 주황색, 노란색, 갈색, 자주색 등 여러 색이 있겠지만 그 중에서 주황색 귤이 월등히 많다. 이를 보고 '주황색에 밀도가 높다' 라고 말하며 이런 일련의 과정이 바로 밀도 추정인 것이다. * 변수(Random variable) : .. 🗺️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 2021. 10. 20. [GIS] 9. 벡터와 래스터 학습목표 1) 데이터에는 벡터, 래스터 두 종류가 있음을 알고 각각의 특징을 이해한다. 2) 용도에 맞게 벡터, 래스터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1. 벡터 데이터와 래스터 데이터 : 현실의 대상물을 지리 데이터로 만들 때 그를 표현하는 두 가지 방식 2. 벡터 데이터 (vector data) - 좌표 값의 집합으로 구성된 포인트(point), 라인(line), 폴리곤(polygon)으로 표현함. - 비교적 분리된 객체 표현에 유리함. - 인공적인 피처 - 행정 경계, 도로, 건물 - 자연적인 피처 - 하천, 호수, 삼림지 - 벡터 데이터의 종류 1) 포인트 : X 값과 Y 값으로 이루어진 좌표 값이 하나의 대상물 표현함. 2) 라인 : 일련의 좌표 쌍이 모여서 하나의 대상물을 표현 3) 폴리곤 : 일련.. 🗺️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 2021. 10. 20. [GIS] 8. 투영 (projection) 학습목표 1)투영의 개념을 알 수 있다. 2)투영의 종류를 알고, 용도에 맞는 투영법을 사용할 수 있다. 1. 위도와 경도 - 위도 : 적도를 기준으로 수평으로 그어진 평행선. 60진법을 이용하며, DMS를 이용하여 표현. (Degree, Minute, Second) - 경도 : 본초자오선(영국 그리니치 천문대)을 0도로 상정하고, 양 극점을 연결하는 선들. 위도와 수직을 이루고 있으며, 동경(서경) 180도에 날짜 변경선이 위치. 위도와 마찬가지로, 60진법과 DMS를 이용해 표현 2. 준거타원체 - 지도를 그리기 위해 매끈한 표면의 지구모형을 먼저 상정해 줘야 함. but, 지역마다 지형의 차이로 왜곡이 발생 - 각 국이 자신의 국가를 중심으로 측량 사업을 통해 서로 다른 준거 타원체를 만들어 사용했.. 🗺️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 2021. 10. 20. [GIS] 7. 테이블 결합 - 조인과 릴레이트 학습목표 1) 테이블 결합 작업의 의미를 알 수 있다. 2) 테이블 결합 작업에는 조인과 릴레이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 조인과 릴레이트를 상황에 맞게 사용한다. 1. 테이블 결합 작업 - 두 가지 테이블을 결합하는 것. - 우리는 속성을 피처의 속성 테이블에 저장할 수도 있고, 아니면 별도의 테이블에 따로 저장할 수 있다. 지도화나 분석을 위하여 통합된 형태의 테이블 정보가 필요할 때는 테이블을 통합할 수 있다. - 이때, 테이블 결합 작업은 테이블 간의 공통 키 값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필드 사이의 관계 유형을 테이블 연결 전에 확인해야 한다 2. 조인 (join) - 하나의 테이블에 다른 테이블 필드가 결합된 형태로 만들어지는 결합 작업. - Arcmap 에서 사용되는 레이어 속성 테.. 🗺️ GIS & RS/📚 GIS (지리정보시스템) 2021. 10. 20. 이전 1 ··· 5 6 7 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