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도시 (World Cities or Global Cities)
세계도시는 그 영향력과 기능이 국경을 넘어 세계적인 범위로 확장된 대도시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도시들은 국제 금융, 정치, 커뮤니케이션, 문화,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심 역할을 하며, 글로벌 경제체계 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세계도시는 종종 국제기구의 본부, 다국적 기업, 세계적인 연구 기관 등이 위치해 있습니다.
프리드만 (John Friedmann)의 이론
John Friedmann은 세계 도시 체계 이론(World City Hypothesis)을 개발했습니다. 프리드만에 따르면 세계도시는 글로벌 경제 체계의 허브로서, 자원, 자본, 정보, 인력 등을 흐름과 관리의 중심지로서 작용한다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도시들은 종종 '세계 도시 네트워크'의 일부를 이루며, 다른 세계도시와 밀접한 연계를 맺고 있습니다.
사센 (Saskia Sassen)의 이론
Saskia Sassen은 "글로벌 도시(Global City)"라는 개념을 주목하며, 세계도시가 국제 금융과 서비스 산업에서 중심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사센은 뉴욕, 런던, 도쿄와 같은 세계도시가 글로벌 경제의 주요 '명령 및 통제' 센터로 작용한다고 설명합니다. 이러한 도시들에서는 고급 전문 서비스 산업이 활성화되며, 다국적 기업의 본사나 지역 사무소가 집중됩니다.
테일러 (Peter Taylor)의 이론
Peter Taylor는 세계 도시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그의 이론에 따르면 세계도시는 단순히 개별적인 노드가 아니라, 복잡한 네트워크 체계에서 서로 상호작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이 네트워크는 글로벌 경제, 문화, 정치 등 다양한 차원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도시 간의 연결성은 그 도시의 세계도시로서의 지위를 결정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요약
세계도시는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자원과 정보, 자본, 인력 등이 집중되는 곳입니다. 프리드만은 이러한 도시가 글로벌 경제 체계의 중심 역할을 하며, 사센은 국제 금융과 서비스 산업의 '명령 및 통제' 센터로의 기능을 중점적으로 본다. 테일러는 세계도시가 복잡한 글로벌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이론들은 세계도시가 현대 글로벌화 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 Hongsi's Study > 🌏 지리・도시・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지리] 거주지분화/동심원모델/침입-계승모델 (0) | 2023.09.11 |
---|---|
[도시지리] 다중심 도시권(polycentric urban regions, PUR) (0) | 2023.09.11 |
[도시지리] 교외화(Suburbanization) / 거주교외화/고용교외화 (0) | 2023.09.11 |
[도시지리] 도시 입찰지대론(Bid-rent theory) (0) | 2023.09.11 |
[도시지리] 크리스탈러의 중심지 이론 (Cristaller's Central Place Theory) (0) | 2023.09.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