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 복지] 시도별/시군구별 60세 이상 인구 수
2023년 3월 기준 시도별 60세 이상 인구 수 행정기관 60~69세 70~79세 80~89세 90~99세 100세 이상 합계 전국 7,485,540 3,855,550 2,007,868 285,797 8,361 13,643,116 서울특별시 1,306,131 719,226 329,015 43,291 1,389 2,399,052 부산광역시 558,855 311,360 137,719 16,589 419 1,024,942 대구광역시 353,662 186,182 91,391 11,310 249 642,794 인천광역시 427,411 190,315 91,557 14,111 471 723,865 광주광역시 179,548 96,440 47,334 6,511 187 330,020 대전광역시 199,226 96,058..
💖 Hongsi's Study/👴🏻 사회복지
2023. 4. 27.
-
[사회복지] 사회가 제공하는 생활서비스의 유형
기 준 유 형 기능 및 성격 해당 서비스 사례 사회적 기능 일상적 서비스 이용자 요금, 수혜자 부담을 통해 개별적 으로 제공 상하수도, 쓰레기수거, 도로교통 보호적 서비스 주민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질서를 유지하는 기능 경찰, 소방, 법집행, 홍수통 제, 위생검사 발전적 서비스 개인의 육체적,지적, 정신적 잠재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기능 교육, 도서관, 공원, 문화예 술시설 사회적 최저수준 보장 서비스 최저수준의 주민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서비스로 경제적 재분배기능이 강한 서비스 공공부조, 병원, 공중보건, 의료보호, 거택보호, 직업훈 련, 공공주택 서비스의 수혜범위 연결재 도시 활동 및 도시기능을 연결시켜주는 서비스 도로, 상수도, 경찰, 소방서 선별재 혜택이 선별적이고 주로 개인의 편익증 진을 위한 서비..
💖 Hongsi's Study/👴🏻 사회복지
2022. 10. 19.
-
[주거복지] 서울에는 반지하주택이 얼마나 있을까? (서울연구원)
2021년 말 서울의 지하·반지하 주택은 20만 3천 호로 추정, 서울시 전체 가구의 5% 차지 서울의 지하·반지하주택의 80.9%가 1995년 이전에 지어져 서울의 반지하 주택은 202,741호로 추정, 서울시 전체 가구의(4,046,799가구) 5% 차지 2021년 12월 기준 서울의 건축물 597,797동 중 63.5%가 다양한 용도의 지하층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중 지하·반지하 주택은 202,741호로 추정 지하·반지하주택 유형으로는 다가구주택이 39.6%, 단독주택이 36.3%, 다세대주택이 20.8% 순 지하·반지하주택이 가장 많이 분포한 곳은 관악구(16,265호), 강북구(14,121호), 중랑구(12,793호) 순 표 1. 서울시 지하·반지하 주택 현황 (단위: 호,%) 서울시 전체 가..
💖 Hongsi's Study/👴🏻 사회복지
2022. 10. 17.
-
[노인복지] 2022 시군구별 노인일자리지원기관 현황 (보건복지부)
시 · 도 65세 이상노인인구 (2021.12.31 주민등록 인구기준) 합 계 노인 일자리 지원기관 비 고 시 설 수 종 사 자 수 서울 합계 1,597,447 18 18 106 종로구 27,609 1 1 5 중구 24,037 0 0 0 용산구 38,552 0 0 0 성동구 46,201 0 0 0 광진구 51,450 1 1 6 동대문구 62,009 1 1 6 중랑구 71,560 0 0 0 성북구 74,545 1 1 5 강북구 64,218 0 0 0 도봉구 64,114 1 1 6 노원구 88,271 1 1 6 은평구 87,038 1 1 6 서대문구 53,822 1 1 6 마포구 54,231 1 1 6 양천구 68,483 1 1 6 강서구 92,336 1 1 6 구로구 71,445 1 1 6 금천구 40,4..
💖 Hongsi's Study/👴🏻 사회복지
2022.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