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척도(scale)의 네 가지 종류 (명목 nominal/서열 ordinal/등간 interval/비율 ratio)
통계학에서 사용되는 척도(measure)는 데이터의 성질을 측정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주요한 척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명목 척도 (Nominal Scale) 정의: 단순히 카테고리나 라벨로 구분하는 척도입니다. 예시: 성별(남, 여), 혈액형(A, B, AB, O) 등 수학적 연산: 불가능 서열 척도 (Ordinal Scale) 정의: 카테고리 간에 순서가 있는 척도입니다. 예시: 학점(A, B, C, D, F), 설문 조사 응답(매우 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수학적 연산: 크기 비교 가능, 그러나 평균이나 표준편차 등을 계산하는 것은 무의미 등간 척도 (Interval Scale) 정의: 순서 뿐만 아니라 간격도 동일한 척도입니다. 예시: 섭씨 온도, IQ 지수 수학적 연산: 덧..
💖 Hongsi's Study/📊 통계・공간통계・공간최적화
2023. 9. 10.
-
[공간통계] 공간불균등/집적/분리/다양성 (inequality/agglomeration/segregation/diversity analysis)
공간불균등(inequality), 공간집적(agglomeration), 공간분리(segregation), 그리고 공간다양성(diversity) 분석은 공간 데이터 분석의 중요한 주제로, 특히 도시 계획, 경제학, 사회학, 공중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된다. 공간불균등(inequality): 이는 특정 지리적 영역 내에서 자원, 서비스, 또는 기회가 얼마나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교육이나 의료 서비스가 어떤 지역에는 집중되어 있고, 다른 지역에는 부족한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Gini 계수, 로렌츠 곡선 등의 통계적 방법이 사용된다. 공간집적(agglomeration): 이는 특정 현상이나 업종, 인구 등이 공간적으로 얼마나 집중되어 있는지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기술 스..
💖 Hongsi's Study/📊 통계・공간통계・공간최적화
2023. 9. 4.